샤푸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푸르 1세는 241년부터 270년까지 사산 제국의 제2대 샤한샤(왕)로 재위했다. 그는 아르다시르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였으며, 동방 원정을 통해 쿠샨 제국 영토를 병합하고, 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황제 발레리아누스를 포로로 잡는 등 사산 제국의 세력을 확장했다. 샤푸르 1세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유지하면서도 마니교를 포용하는 등 종교적으로 관대한 정책을 펼쳤으며, 건축 사업과 문화 진흥에도 힘썼다. 그는 비샤푸르에서 사망했으며, 호르미즈드 1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72년 사망 - 보천
보천은 오나라의 장수로, 아버지 보즐의 뒤를 이어 서릉독을 지냈으며 손호에게 무창 천도를 건의했으나, 손호의 소환령에 불안감을 느껴 진나라에 투항했다가 육항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했다. - 272년 사망 - 사마부
사마부는 사마방의 셋째 아들로 조조를 섬기며 위나라의 요직을 역임했고, 경전에 능통하고 문재에도 뛰어났으며, 고평릉의 변 당시 사마의의 쿠데타를 도왔다. - 3세기 이란 사람 - 마니 (예언자)
마니는 3세기 페르시아에서 마니교를 창시하고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등을 융합한 교리를 설파했으며, 스스로를 마지막 예언자라고 칭했으나 박해를 받아 처형되었다. - 3세기 이란 사람 - 카르티르
카르티르는 사산 왕조 시대 조로아스터교 성직자로, 샤푸르 1세 시대부터 두각을 나타내 호르미즈드 1세 시대에 최고위 성직자가 되었고, 바흐람 1세 시대에는 조로아스터교 국교화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종교를 탄압하고 교세 확장에 힘썼으나, 그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2세기 출생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2세기 출생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샤푸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이란과 비이란의 왕중왕 |
통치 기간 | 240년 4월 12일 ~ 270년 5월 |
이전 통치자 | 아르다시르 1세 |
다음 통치자 | 호르미즈드 1세 |
왕조 | 사산 왕조 |
아버지 | 아르다시르 1세 |
어머니 | 무로드 또는 데나그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사망 시기 | 270년 5월 |
사망 장소 | 비샤푸르 |
배우자 | |
배우자 | 쿠란젬 알-나디라 (?) |
자녀 | 바흐람 1세 샤푸르 미샨샤 호르미즈드 1세 나르세 샤푸르두흐탁 (?) 아두르-아나히드 |
2. 어원
"샤푸르"는 사산 제국에서 인기 있는 이름이었으며, 사산 왕조의 세 명의 군주와 사산 시대 및 그 이후 시대의 다른 유명 인사들이 사용했다. 고대 이란어 ''*xšayaθiya.puθra''("왕의 아들")에서 유래되었으며, 처음에는 칭호였음이 틀림없지만, 적어도 서기 2세기 후반에는 개인의 이름이 되었다. 일부 아랍-페르시아 자료에서 아르사케스 왕들의 목록에 등장하지만, 이는 시대착오적이다. 샤푸르는 다른 언어에서 다음과 같이 음역된다. 그리스어 ''사푸르'', ''사부르'', ''사푸리스'', 라틴어 ''사포레스'', ''사포르'', 아랍어 ''사부르'', ''샤부르'', 신 페르시아어 ''샤푸르'', ''샤푸르'', ''샤푸르''.
샤푸르 1세는 아르다시르 1세와 그의 아내 무로드[2][3][4] (또는 데나그) 사이에서 태어났다. 샤푸르 1세의 가문은 파르스(페르시스) 출신은 아니었지만, 동쪽의 인도-파르티아인의 후손으로 추정된다.[3]
샤푸르 1세는 아르다시르 1세가 224년 호르미즈다간 전투에서 파르티아 왕 아르타바노스 4세를 격파하고 226년 사산 왕조를 창시한 후, 그의 아들로 태어났다.[15] 241년 부친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라 단독 통치를 시작했다.[15]
3. 배경 및 초기 생애
카르-나마그 이 아르다시르 이 파바간에 따르면, 파르티아 왕 아르타바누스 4세의 딸 지자낙이 남편 아르다시르 1세를 독살하려다 발각되었으나, 임신한 사실이 알려져 모바드(사제)들의 반대로 처형을 면하고 샤푸르를 낳았다. 샤푸르는 아르다시르에게 발견되었고, 아르다시르는 그의 훌륭한 품성을 보고 그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는 이란 역사에서 반복되는 영웅 탄생 설화와 유사하다.
샤푸르는 아버지 아르다시르 1세가 파르티아의 아르사케스 왕조를 무너뜨리고 사산 왕조를 건국하는 과정(호르미즈드간 전투)에 참여했다. 이 전투는 224년 4월 28일에 벌어졌으며, 아르타바누스 4세가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아르사케스 시대가 끝나고 사산 왕조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아르다시르는 샤푸르를 "그의 모든 자녀들 중에서 가장 온화하고, 현명하고, 용감하고, 유능한 자"라고 여겼으며, 고관들의 회의에서 그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다.
4. 통치 기간
샤푸르 1세는 즉위 직후 동방 원정을 통해 카스피해 연안과 쿠샨 왕조 영토 대부분을 병합했다.[6] 로마 제국과의 두 차례 전쟁에서는 메소포타미아 요새들을 점령하고 시리아를 약탈했으며, 에데사 전투에서는 발레리아누스 황제를 포로로 잡았다.[16][15]
내정에서는 제국 내 여러 지역에 총독과 종속 왕을 임명하여 통치 체제를 강화하고, 카타프락토이를 발전시켜 군사력을 강화했다.[15] 군디샤푸르, 비샤푸르 등의 도시와 카이사르의 둑을 건설했다.[15]
종교적으로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유지하면서도 마니의 마니교를 보호하고 전파를 허용하는 등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14][16]
4. 1. 동방 원정
샤푸르 1세는 아버지 아르다시르 1세가 사망한 직후인 241년, 로마 시리아 원정을 중단하고 동방으로 눈을 돌렸다.[6] 당시 쿠샨 왕조와 사카족이 사산 왕조에 조공을 바치고 있었으나, 샤푸르 1세는 이들이 조공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6] 그는 먼저 카스피해 연안의 길란 산맥으로 추정되는 "산의 메디아인"을 정복하고, 아들 바흐람 1세를 그들의 왕으로 임명했다.[6]
이후 동쪽으로 진군한 샤푸르 1세는 쿠샨 왕조의 영토 대부분을 병합하고, 또 다른 아들 나르세를 시스탄의 사칸샤(사카의 왕)로 임명했다.[6] 242년에는 호라즘을 점령했다.[6] 샤푸르 1세는 자신의 제국이 페샤와르까지 뻗어 있다고 선언했으며, 낙쉐 로스탐 비문에는 그가 "푸루샤푸라"(페샤와르)까지 쿠샨의 영토를 소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이는 그가 박트리아와 힌두쿠시 산맥까지, 혹은 그 남쪽 지역까지 통제했음을 시사한다.
샤푸르 1세는 동방 원정에서 포로로 잡은 자들을 메르브, 니샤푸르, 즈랑 등 동부 영토에 정착시켰다.[8] 이는 사산 제국의 일반적인 포로 정책이었다.[8]
4. 2. 로마와의 전쟁
샤푸르 1세는 로마 제국과 두 차례의 큰 전쟁을 치렀다.
242년부터 244년까지 이어진 1차 전쟁에서 샤푸르 1세는 메소포타미아의 요새 도시 니시비스와 카르헤를 점령하고 시리아로 진격했다.[16] 고르디아누스 3세가 이끄는 로마군은 미시케 전투에서 패배하고, 고르디아누스 3세는 전사하거나 살해되었다.[16] 그 후, 아랍인 필리푸스가 로마 황제가 되었고, 샤푸르 1세와 평화 조약을 맺으며 아르메니아를 페르시아의 영향력 아래에 두는 것과 500000gold 데나리우스를 배상금으로 지불하는 것에 동의했다.
250년부터 260년까지 이어진 2차 전쟁에서 샤푸르 1세는 바르발리소스 전투에서 로마군을 크게 무찌르고 시리아를 약탈했다.[16] 또한, 에데사 전투에서는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를 포로로 잡는 전례 없는 승리를 거두었다.[15] 이 승리는 낙쉐 로스탐의 암각 부조에 묘사되어 있는데, 샤푸르 1세가 말을 타고 있고 발레리아누스는 그 앞에서 무릎을 꿇고 항복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10]
샤푸르 1세는 로마와의 전쟁에서 포로로 잡은 로마인들을 이란 각지에 이주시켰으며, 이들을 통해 이란의 국내 상업이 활성화되었다.
4. 3. 내치
샤푸르 1세는 제국 내 여러 지역에 총독과 종속 왕을 임명하여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곰, 이스파한, 하마단, 네리즈, 린드, 군디샤푸르, 베 아르다시르, 이베리아 왕국 등에 총독이나 종속 왕을 임명했다.[15] 그의 비문에는 샤푸르 1세 시대의 여러 관료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 중 다수는 아버지 아르다시르 1세 시대 관료들의 후손이었다.
샤푸르 1세 치세 동안 활동했던 주요 관료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직책 |
---|---|
파팍 | 왕실 근위대 사령관('하자르베드') |
페로즈 | 기병대장('아스페드') |
바후남, 샤푸르 | 성직자 지휘관 |
키르디스 | 제국 총독('비닥쉬') |
바르드바드 | "봉사 책임자" |
호르미즈드 | 수석 서기관 |
나두크 | "교도소장" |
파팍 | "문지기" |
미흐르크와스트 | 재무관 |
샤푸르 | 군 사령관 |
아르슈타트 미흐란 | 비서관 |
지크 | "의전 장관" |
[15]
샤푸르 1세는 카타프락토이를 더욱 발전시키는 등 군사력을 강화했다. 이란군은 2세기와 3세기에 걸친 쇠퇴 이후 부활을 경험했으며, 군대는 본질적으로 파르티아 시대와 동일했다. 아르사케스 왕가를 섬기던 파르티아 귀족들이 이제 사산 왕조를 섬기며 사산 제국 군대의 주류를 형성했다. 사산 왕조는 로마와 유사한 경량의 체인 메일 갑옷을 갖춘 카타프락토이를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15]
샤푸르 1세는 군디샤푸르, 비샤푸르 등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수사에 카이사르의 둑이라 불리는 댐을 건설하는 등 건축 사업에도 힘썼다. 그는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의 수도 수사 근처에 군디샤푸르를 건설했으며, 로마 포로들이 건설한 댐과 관개 시설을 통해 카룬 강의 물길을 돌려 이 지역의 비옥함을 증가시켰다. 이 댐은 여전히 카이사르의 둑이라고 불린다. 그는 또한 260년 발레리아누스를 물리친 후 포로로 잡힌 로마 군인들의 노역을 통해 비샤푸르를 건설했으며, 호라산에 푸샹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15]
4. 4. 종교 정책
샤푸르는 스스로를 '마즈다 숭배자'라고 칭하며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유지했다.[14] 그러나 다른 종교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샤푸르의 통치 기간 동안, 이란의 예언자 마니가 창시한 마니교가 번성했다. 242년, 마니는 샤푸르에게 호의를 얻어 사산 왕조 궁정에 합류했고, 중세 페르시아어로 쓰인 그의 유일한 저서인 ''샤부르간''을 헌정하여 샤푸르를 개종시키려 했다. 그러나 샤푸르는 마니교로 개종하지 않고 조로아스터교 신자로 남았다.[14] 샤푸르는 마니교를 보호하고 제국 전역에 전파하는 것을 허용했다.[16]샤푸르는 유대 아람어로 "샤부르 멜카"(שבור מלכא), 즉 "샤푸르 왕"으로 불리며 탈무드에 여러 번 언급된다. 그는 유대인 공동체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바빌로니아의 가장 유명한 아모라임 중 한 명인 스무엘과 친했다.
4. 5. 문화 정책
샤푸르 1세는 고대 그리스, 고대 인도의 의학, 천문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이러한 학문 연구와 번역을 장려했다. 종교적으로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정하면서도, 242년 예언자 마니와 만나 그가 창시한 마니교에 큰 관심을 보이며 보호했다[16]. 이러한 샤푸르 1세의 지원으로 마니는 페르시아 왕국 전역과 그 주변 지역에 마니교를 전파하고 신자를 늘렸으며, 교회를 조직하고 제자 교육에 힘썼다. 또한 로마 제국 영내에도 선교사를 파견할 수 있었다[16]. 마니가 샤푸르 1세에게 헌정한 종교서 『샤푸라칸』에는 왕과 마니 간의 종교적 상호 이해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16].5. 죽음
비샤푸르에서 샤푸르는 질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270년 5월에 있었으며, 그의 아들인 호르미즈드 1세가 그 뒤를 이었다. 그의 다른 두 아들인 바흐람 1세와 나르세도 사산 제국의 왕이 되었으며, 샤푸르보다 먼저 사망한 또 다른 아들인 샤푸르 메샨샤는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할 자녀를 두었다.
6. 연표
연도 | 사건 |
---|---|
215년경 | 샤푸르 1세 출생. |
224년 | 아르타바노스 4세가 아르다시르 1세에게 패배. 아르다시르 1세가 사산 왕조를 건국. |
241년 | 아르다시르 1세 사망. 샤푸르 1세가 사산 제국 제2대 페르시아 왕으로 즉위. |
242년 | 마니교의 창시자 마니, 샤푸르 1세와 회견.[15] |
244년 | 미시케 전투에서 샤푸르 1세가 로마군을 격파하고, 고르디아누스 3세 황제는 이 전투에서 전사.[16] |
253년 | 바르발리소스 전투에서 샤푸르 1세가 로마군 격파.[16] |
260년 | 에데사 전투에서 샤푸르 1세가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를 포로로 잡음.[15] |
270년 | 샤푸르 1세 사망. 아들 호르미즈드 1세가 제3대 왕으로 즉위. |
참조
[1]
웹사이트
Shapur I
https://www.worldhis[...]
2023-12-17
[2]
간행물
Šāpur I
2002
[3]
간행물
Women i. In Pre-Islamic Persia
http://www.iranicaon[...]
London et al.
2000
[4]
서적
The Last Empire of Iran
Gorgias Press
2020
[5]
문서
[6]
서적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Sasania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7]
문서
[8]
서적
L'Iran sous les Sassanides
[9]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Volume I: The Dynastic Periods: From Antiquity to the Fourteenth Century
[10]
서적
Iran From the Beginning Until Islam
[11]
서적
History of Ancient Iran
[12]
서적
Who's Who in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13]
서적
Babylonia Judaica in the Talmudic Period
https://books.google[...]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